공원조성
도시와 함께, 국민과 함께 성장·발전해가는 용산공원

- 용산공원소개
- 공원조성
공원의 골격
생태체계
녹지체계 |
남산으로부터 공원으로, 다시 한강으로 연결되는 연결 녹지 및 공원 내 신림녹지, 이용녹지, 생산녹지로 구분 |
수체계 |
공원을 소유역으로 나누고, 만초천 복원과 함께 주요 결절지점에 저류기능 및 친수공간 호(pond)와) 이를 연결하는 내(steam), 그리고 빗물 저장과 정화 기능을 하는 습지(wetland)를 조성 |
경관체계 |
숲, 들, 호, 내, 습지로 이루어진 대표 경관을 바탕으로 부지 표고가 높거나 주변이 열린 곳을 주요 조망점으로 삼고 남산을 바라보는 시야를 가로막는 시설물 조성 제한 |
이용체계
공간 및 시설체계 |
생태적 체계와 수체계, 그리고 지형, 경관 및 지하공간을 포함한 큰 틀 안에서 다얀한 변화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구조와 시설 활용방안 제시 |
동선체계 |
대중교통 및 보행을 통한 접근이 용이하도록 여러 출입구를 설정하여, 부지를 순환하는 동선과 도시의 보행 연계성 강화 |
프로그램체계 |
공원의 생태적 계획에 맞는 프로그램과 함께 부지의 역사 및 문화를 강조하고 주변도시와 연계될 수 있는 프로그램 제시 |
종합기본구상
- 대상지의 자연적 역사,문화적 조건을 존중하면서 공원의 물리적 골격을 구성하는 생태체계와 공원 이용을 위해 새롭게 도입되는 구조인 이용체계의 유기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전체적인 공원 틀 구성